구글 웹마스터 컨퍼런스 내용 정리

2019년 12월에 열린 구글 웹마스터 컨퍼런스의 내용을 정리한 글로, 나중에 다시 보려고 벨로그에 옮겨둡니다.
01. 구글 검색의 작동 원리
색인되있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
색인단계
크롤링
- 이전 크롤링결과+사이트맵에서 시작
- 링크로 이동
서치콘솔
- 사이트 소유자가 크롤링 방법 설정
- 재크롤링 요청 혹은 크롤링에서 제외
발견된 웹페이지들은 구글 서버로
색인 생성 - 키워드로
단순 키워드 그 이상
- 그래프 기발
- 웹페이지 정보 + 다른 유형의 정보 체계화
검색 알고리즘(serving단계)
랭킹 시스템
- 유용한 정보인지?
- 관련성 높은 정보인가
- 최신성 높은 정보인가
랭킹 시스템 알고리즘
- 관련성, 유용성 (사용자의 위치, 언어, 여러가지 등등)
높은 수준의 관련성, 품질 기준 충족이 목표
- 엄격한 절차 정립
- 실시간 테스트
- 검색 품질 평가자 - 전세계에 3천명정도.. 검색 알고리즘 테스트
검색 알고리즘의 주요 요소
- 검색어 이해
- 바꾸다 → 여러가지 의도가 있다. 동의어 시스템으로 사용자의 의도 파악
- 검색어의 범위를 파악
- 검색어(키워드) 포함 여부... 키워드가 제목에 있는지?
- 콘텐츠의 품질 → 스팸 사이트 제외
- 웹페이지 접근성
- 결과를 잘 보여주는지
- 크로스 브라우징
- 크로스 디바이스
- 페이지가 얼마나 빨리 뜨는지 (lighthouse)
- 맥락
- 사용자의 위치, 이전 검색정보 활용
웹마스터 지원
- 유튜브 웹마스터 채널
- 구글 웹마스터 포럼
- 서치콘솔
- webmaster central blog
02. 검색엔진 최적화 : 검색엔진이 이해할 수 있는 사이트 만들기
검색의 tip
- site: 연산자로 구글에 색인된 사이트의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다
- “” 로 검색어와 일치하는 문구를 가진 페이지를 찾을 수 있다
- filetype:, inurl:, intitle:, AND OR -
검색엔진 최적화란
- 검색엔진이 사이트를 쉽게 수집하고 색인할 수 있도록 페이지를 관리하는 것
- 200+ 개의 검색엔진 알고리즘이 있고, 한 해 몇천번의 업데이트가 일어난다.
사이트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기
robot.txt
- 없으면 페이지가 색인되지 않을 수 있다
- robot.txt는 검색엔진의 트래픽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한다.
- 사이트의 구현에 필요한 부분을 막으면 안된다(css, js, image 등)
- 검색엔진에 불필요한 페이지들은 트래픽을 조절한다 → Disallow:
검색엔진이 페이지를 발견하는 방법
- 링크
- a 태그와 함께 href속성을 함께 사용해야 크롤러가 링크를 따라간다,
- sitemap
- 규모가 매우 큰 사이트, 내부링크가 잘 연결되지 않은 경우 사이트맵을 추가하면 좋다
태그의 사용
타이틀 태그
- 제목
- 페이지마다 다르게 가장 중요한 키워드를 넣어야한다.
meta description 속성
- 간결하고 명확한 요약정보
- 웹페이지마다 다른 내용
- 검색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
텍스트
- 이미지로 만들면 안된다 → 검색엔진, 접근성에서 불리하다 → 모든 가능한 정보는 텍스트로 제공
- 이미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→ 이미지 파일이름, alt텍스트를 보고 쉽게 알 수 있게
- 표준 HTML의 활용 → 플래시는 이제 안된다.
콘텐츠 관리
검색을 어떻게 활용하는가?? 10년전에는 구글에서 네이버를 검색해서 네이버로 간 다음, 네이버에서 검색을 했다. 지금은 검색을 통해 더욱 구체적인 내용을 찾고있다.
콘텐츠 최적화
- 검색 품질 평가 가이드라인
- EAT - 전문적인,독창적인,신뢰있는 콘텐츠
키워드의 활용
- 아무 키워드나 나열하지 마라
- 관련 키워드를 잘 조합해서 설명을 기술해야 한다.
스팸으로부터 내 사이트 보호하기
- CMS 최신버전으로 유지
- 게시판/댓글기능 사용검토
- 스팸방지도구 사용
- recapcha
URL의 올바른 활용
사용자가 페이지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게 URL을 설정
중복제거
- 검색결과에서 같은 내용이 중복되길 원하지 않음
- 유니크한 콘텐츠를 인덱스하기 위한 공간 확보
- 사이트를 이동하거나 재설계할 때 시그널을 유지
- 대체 페이지 찾기
클러스터링 시그널
- 리다이렉트 (새로운 페이지로 이동 → 옛 페이지들은 중복제거)
- 콘텐츠 → 모양새가 같아도 내용이 중복되면 중복페이지
- rel=Caconical → 직접 대표페이지를 설정 → 중복페이지를 정리할 수 있음
로컬라이제이션
- hreflang을 활용한 다국어 페이지의 활용 → 언어와 지역에 맞는 URL을 보여줄 수 있도록 돕는 역할
링크의 올바른 활용
여기를 클릭 → 이런거 쓰지말고 내용을 포함시켜라
앵커 텍스트 활용
- 페이지의 내용을 미리 파악할 수 있도록
내부링크
- 관련된 페이지에 링크 걸어주기
HTTPS
- https는 검색 순위에 적용된다 → 같은 내용인 경우 https가 표시된다.
차세대 웹을 위한 전제조건
- HTTP/2
- PWA
- Geolocation API
mixed content
- 페이지 안의 리소스들이 http로 로딩되는것
- 프로토콜 상대경로를 사용하면 좀 더 편리하게 설정가능
<a href=“//example.com">
리다이렉트 설정
- 어떤 형태의 URL로 접속해도 HTTPS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
서버 설정 확인하기
- ssllabs.com (http://ssllabs.com/)
모바일 시대에 맞는 최적화
지금까지 mobile friendly page 모바일 친화성. 이제는 mobile first indexing 모바일 페이지를 먼저 만드는게 더 좋을 수 있다.
모바일 웹 → 반응형 웹 디자인으로
왜 반응형인가?
- 모바일 버전의 페이지를 따로 만들면 2배의 수고
- 속도 절감 : 모바일 페이지로 리다이렉트할 필요 없음
- 검색엔진에 모바일 페이지의 존재를 알릴 필요가 없음
- 사용자가 동일한 URL로 콘텐츠의 공유를 쉽게 할 수 있다
page speed
페이지 스피드는 검색의 순위를 결정하는데 반영
03. 구글 서치 콘솔
개발자 테스트 툴
- AMP
모니터링
- URL 검사
- 색인 요청
새 기능
- Domain Properties : 사이트의 도메인 통합
- Performance on Discover
- Speed Report : 실제 유저가 체험하는 속도
- Mobile First Indexing : 어떤 크롤러가 기본으로 되있는지?
- site exchange : AMP 주소관련 기술
04. 구글 검색 자세히 들여다 보기 - 흰색 창과 블루링크 너머
기존 검색 결과 : 블루링크 최근 들어서는 rich results - 이미지, 제목, 출처, 평점 등등 여러가지 구조회된 데이터들이 결과로 보여진다.
구조화된 데이터
structured data 구조화된 데이터는 구글이 페이지 내용을 이해하고 특별한 기능으로 작동하도록 도와준다.
구글 검색 결과에 특별 기능이 포함되고 있음
- 채용정보를 검색하면 상단에 박스가 있고 채용정보가 모아져있는 것을 볼 수 있다.
- 이런 것처럼 검색 결과에 계속 새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.
- ex) 부산시 행사
구조화된 데이터의 종류 예시
- 동영상 key moments
- Timestamp, Thumbnail, Description 표시
- 마크업해두면 표시될 수 있다.
- 동영상 실시간 스트리밍
- 동영상에 LIVE 표시를 할 수 있다.
- 캐로셀
구조화된 마크업을 했을 때, 구글 어이스턴트와 연동할 수 있다.
구글 검색 개발자 문서 (https://developers.google.com/search/docs/guides/get-started?hl=ko)
- 검색 갤러리에서 사이트에 가장 최적회된 구조화된 데이터를 찾을 수 있음
- 참고자료 보면 어떤 종류의 구조화된 데이터가 있는지 볼 수 있다.
마크업 적용
- JSON-LD 또는 Microdata로 적용
Rich Result Test 도구
- 구조화된 데이터 적용 확인 및 미리보기
서치 콘솔 도구
- 구조화된 데이터를 마크업했을 때, 서치콘솔에서 사용자의 반응을 측정할 수 있다.
지식패널
구글에서는 사물, 인물, 장소 등에 대해서 오른쪽 창에 설명을 보여 준다. 여기 들어가는 정보는 웹 상에서 모은 데이터를 정리해서 표시된다.
지식 패널 소유권 주장하기
- 지식 패널 아래쪽에 소유권 주장하기 버튼이 있음
- 인증되면 수정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수정을 제안할 수 있다
지식 패널 소유권을 얻으면 포스트 작성 가능
My Business
비슷하게 구글 my business business.google.com (http://business.google.com/) 있음
- 영업점을 운영하는 경우
- 영업시간, 주소, 전화번호 업데이트 가능